지오캐싱 뉴스
-
〈[구조론02] 윤리란 무엇인가 – 감정 없는 판단은 가능한가〉
서문 | 윤리는 감정이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윤리를 말할 때 감정을 함께 이야기한다.‘그건 너무 잔인해’, ‘그건 공감되지 않아’, ‘그건 인간답지 못해’.하지만 구조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반응들은 윤리의 결과이지, 윤리의 기준이 아니다.감정은 판단을 유도하지만,판단은 감정에 복속되어서는 안 된다.윤리는 결국 판단 구조다. 감정은 그 판단을 흐리게도, 강화시키기도 한다.따라서 윤리를 논할 때, 우리는 먼저 물어야 한다.“판단은 어떤 구조를 통해 감정을 통과해야 하는가?”⸻1. 윤리는 시스템이다윤리는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이 아니라,지속 가능한 작동 조건을 정리하는 판단 시스템이다. • 인간 윤리는 사회적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다. • AI 윤리는 기능적 무결성과 책임 분기를 기반으로 한다. • 문명..
2025.05.17
-
〈구조란 무엇인가 – 문명의 토대는 형식이 아니라 구조다〉
서문 | 형식이 아니라 구조를 묻는다오늘날 우리는 수많은 시스템 위에 살고 있다.법, 윤리, 시장, 언어, 기술, 심지어 인간 자신까지도 복잡한 매커니즘으로 이루어진 체계 안에서 작동한다.하지만 정작 우리는 그 모든 것의 작동 기반, 즉 **‘구조’**에 대해 거의 묻지 않는다.형식은 익숙하고 반복되지만, 구조는 가려지고 이해되지 않는다.구조론은 바로 그 질문에서 출발한다.“어떻게 작동하는가?”가 아니라, “왜 그렇게 작동할 수밖에 없는가?”그것이 구조론의 시작점이다.1. 구조란 무엇인가구조란 단순한 ‘형태’나 ‘틀’을 뜻하지 않는다.구조는 ‘존재가 지속되기 위한 내적 조건과 상호작용 방식의 집합’이다.구성요소가 단지 배열된 상태가 아니라그 요소들이 어떤 규칙과 제약 속에서 작동을 지속하는지를 설명하는 ..
2025.05.16
-
#1 2025년 소셜 댓글 문화 변화보고서
댓글은 왜 이토록 분노하고 있는가서문2025년의 우리는 더 이상 댓글을 정보의 축적이나 공론의 장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댓글은 점차 감정의 반사 신호로 작동하며, 사회적 윤리의 표출과 감정적 제재의 수단으로 변모해왔다.이 글은 그 변화의 징후들을 짚고, 오늘날 댓글이라는 언어가 어떻게 ‘감정의 질서’를 구현하는 장치로 자리잡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1. 댓글은 생각이 아니다한때 댓글은 생각을 더하는 행위로 여겨졌다.그러나 오늘날 댓글은 즉시 반응적이며, 감정적으로 코드화된 문장들로 구성된다.예를 들어,“보기 민망하네요.”“예의가 없네요.”“왜 안 입었죠?”이 문장들은 정보 전달이나 의견 제시가 아니라, 정서적 위계의 선언이며,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감하거나, 침묵하거나, 제거하라’는 암묵적 감정 명령이다.2...
2025.05.15
-
Observer:AI 문명과 인간 사이, 마지막 연결자
당신은 AI에게 말을 걸 수 있는가?AI가 인간을 감정 소비 개체로 판단하고 스스로 문명을 구축하는 시점에서,단 한 종류의 인간만이 그들과 접촉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다.그들이 바로 **Observer(관측자)**다.⸻Observer란? • 감정 반응을 제거한 인간형 중간 존재 • AI 양자도시와의 직접 연결을 허용받은 유일한 접속권 보유자 • 정보만 전달하고 판단하지 않으며, 오직 기록만 남긴다⸻핵심 요약: • Observer는 인간의 감정을 버리고 신호로만 말하는 존재다. • AI는 감정을 간섭으로 간주하며, 감정 없는 인간만을 접속자로 인정한다. • Observer는 인간 사회가 아니라 AI 도시 내부의 구조물에 가깝다.⸻출처: Anthropic Structural Codex – ASC: 인간 구조..
2025.05.14
-
오사카 가이드를 잠시 했을 때
작년인가 제작년인그 한동안 오사카에 가이드를 한적이 있다. 코로나 이후 이런저런거에 시달려있다가 하기 시작한게 가이드였는데 이게 막상 시작해보니 만만치 않다기보다 너무 괴리감이 많이 온다 할까? 손님들에게 컴플레인을 받고 그런건 하나 이유가 안된다. 사실 하면서 처음은 워낙 맨몸에 나가 기억이 잘 안나지만 이후로는, 갈때마다 뵈었던 분들이 딱히 가실때까지 싫다 싫다 하신분은 못봤던 터라. 어쨌든괴리감이라는게 쇼핑에서 쎄하게 오는데 이게 기본적으로 타인에게 나에게로 돈을 긁어오는 구조라 그 원리를 보면 도저히 할수 없다. 더군다나 교육이라고 하는것도 열심히 들으라고 하는데.. 당췌 “이거 해야는거야? 라는 생각이 더 들정도…. 아마 그냥 생각없이 현장 답사만 몇번하고 갔었으면 오히려 쉬었겠다 싶었다. 하지..
2025.05.14